소비자 90%는 일본산 수산물에 대해 현 수준의 수입규제 요구

우리 국민 10명 중 1명만 일본산 수산물 구입 의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011년 3월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발생한지 3∼5년 후 “일본산 수입 수산물의 방사능 수준이 거의 불검출 수준”이란 사실을 미리 알려준 뒤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다. 이는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국내 소비자의 우려와 기피가 여전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5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소비자ㆍ미디어와의 소통 개선을 위한 식품 방사능 국제 심포지엄’에서 한국원자력병원 이승숙 박사(한국여성원자력전문인협회장)는 “원자력병원과 소비자연맹이 3년간(2014∼2016년) 공동 조사한 결과 국내 소비자 10명 중 9명이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일본산 수산물을 구입하지 않거나 구입 빈도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일본산 수산물에 대해 현 수준과 같이 수입규제를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도 90% 이상이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소비자 3명 중 1명은 식품 방사능에 대한 정보를 직접 습득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일상생활에서 방사선에 의해 건강에 위협을 받고 있다는 비율은 2014년 45.6%에서 2015년 43.1%, 2016년 36.0%로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이 박사는 식품 방사능에 대한 국내 소비자의 막연한 불안은 대중과 과학의 소통 부재로 인한 기우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박사는 “우리 국민이 매일 생선을 1마리씩(주 1㎏) 섭취하고 모든 생선이 현재의 방사성 세슘의 허용 기준(100 ㏃/㎏)만큼 방사능에 오염돼 있다고 가정했을 때(실제로 일어나기 힘든 최악의 시나리오) 한국인이 받는 연간 피폭량은 0.0676m㏜(밀리 시버트)”이며 “이 정도 추가된 피폭량은 한국인의 평균 암 발생률인 36%를 더 높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식품 방사능의 실제 리스크는 소비자가 인식하는 리스크보다 훨씬 작다는 것이다.

이 박사는 “소비자가 식품 방사능 이슈에 대해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시각을 갖게 하려면 정부가 빠르고 투명하게 관련 정보를 공개해 소비자의 신뢰를 얻고, 어릴 때부터 방사능 이슈를 과학교육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외식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