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급성심장정지 3만 539건 발생, 8.6% 생존

▲ 사진 = 심장마비 / pixabay

급성심정지 환자 발생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면 환자의 생존율이 최대 3.3배 향상된다.

질병관리본부 와 소방청은 2006년 부터 2018년 까지 구급대가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사례 의무기록을 조사한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작년(‘18년) 119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이송된 급성심장정지 환자 건수는 3만 539명으로 10년 전(’08년)보다 약 39.4% 증가했다.

환자가 쓰러지거나 쓰러진 환자를 목격한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 생존율이 약 1.9~3.3배, 뇌기능 회복율은 약 2.8~6.2배 높게 나타났다.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남자의 비율(64%)이 여자의 비율(35.9%)보다 높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률이 증가했으며, 70세 이상 어르신의 발생률은 전체 발생의 약 50%로 매년 증가 하고 있다.

주요 원인으로는 질병이 전체 발생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질병 중에는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 심장의 기능부진으로 인한 것이 93% 이상을 차지했다. 장소는 대부분 가정(45.3%)에서 나타났으며, 일상생활 중(31.1%)에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관리본부와 소방청은 심폐소생술 실시여부는 환자의 생존율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며, 환자를 발견했을 때는 신속히 119에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 한국외식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